loading
해운 물류 뉴스

중국 항공사들의 3월 운송이 급증했다. 15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중국중앙TV(CCTV) 등 현지 매체는 3대 국영 항공사(남방·동방·중국국제항공)의 지난달 운송이 작년 동기 대비 100% 이상 증가했다고 전했다. 국내선 운항이 많은 지상(吉祥)항공은 아직 3월 운항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운항편 수가 1만808편으로,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보다 110% 늘면서 중국 항공사 가운데 실적이 가장 좋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증권일보가 보도했다.

LNG carrier and containership ordering continue to create incredible records. The two ship types have dominated yard contracts for the last two years, sending pricing to all-time highs, and promising to overhaul their fleets in the coming years.

지난해부터 급락하던 글로벌 해운 운임이 최근 빠르게 반등하며 평년 수준으로 복귀하고 있다. 국내 선사들의 주 노선인 북미 서안 운임은 올해 최고치를 기록했다. 16일 해운 업계에 따르면 지난주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1033.65로 전주 대비 76.7포인트 상승했다. 3월 마지막 주 이후 3주 연속 오름세다.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는 소매유통업체 5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올해 2분기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RBSI)'가 73으로 전분기 대비 9포인트 상승했다고 16일 밝혔다. 대한상의는"마스크 의무해제와 온화한 날씨로 야외활동이 증가하면서 일부 기대감이 살아나고 있다고"면서도 "고금리에 부채상환이 늘고 대출은 어려워 소비여력이 크지 않은 데다 먹거리 등 생활물가 수준이 높아 부정적 전망이 우세했다"고 분석했다.

거리 두기 완화로 물류센터 수요가 주춤하지만 공급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물류센터 공실률 우려가 커지고 있다. 16일 상업용 부동산 종합서비스 회사인 젠스타메이트(GenstarMate)에 따르면 지난해 인천, 시흥, 안산, 군포 등 서부권을 중심으로 이어진 공급과잉 여파로 작년 4분기 기준 수도권 전체의 공실률이 5%를 기록했다. 특히 공급이 집중됐던 서부권은 11.8%까지 공실률이 치솟으면서 동부권 1.8%, 서북권 1%, 동남권 2.8%, 남부권 2.3%을 훌쩍 뛰어넘었다.

컬리는 넓히고, 오아시스는 좁히고…. 이커머스업체 컬리와 오아시스가 상장 재도전을 앞두고 각각 확장과 집중이라는 정반대 전략을 취하고 있다. 컬리는 ‘뷰티컬리’ 론칭으로 화장품 카테고리까지 판매 범위를 넓혔다. 반면 오아시스는 오프라인 매장 수를 줄이며 경영 효율화에 나서고 있다.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이 UPS로 반품하는 물품에 대해선 앞으로 고객에게 1달러(약 1300)의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했다. 아울러 홈페이지에 자주 반품되는 제품은 별도로 표시하기로 했다. 반품 처리에 따른 비용이 너무 많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13일 한국딜로이트그룹의 '글로벌 유통업 강자 2023' 보고서에 따르면 총 6개의 국내 유통 기업이 글로벌 상위 유통 기업에 포함됐다. 이마트가 60위로 순위가 가장 높았고 쿠팡 (74위), 롯데쇼핑(91위), GS리테일(162위), 홈플러스(215위), 신세계(224위) 순이었다.

매일경제가 파악한 바에 따르면 부산 지하철에서 먼저 시작하는 도시철도 연계 '스마트 물류 서비스' 이용료는 기존 퀵서비스 시세보다 최대 50% 가까이 저렴할 것으로 보인다. 오토바이 퀵서비스는 '도어 투 도어(door to door)' 방식으로 발송인이 원하는 장소까지 소화물을 수 시간 내에 가져다주는 대신, 비용이 수만 원대로 높게 책정돼 있다. 반면 이 서비스는 비용이 퀵서비스보다 한참 낮은 대신, 지하철 역사 간 스마트 로커에서 로커로 전달되는 형태여서 지하철을 자주 이용하는 층이 활용하기에 적합하다

국내 항만공사들이 잇따라 국산 크레인 도입 방침을 세운 것은 중국산 크레인 과점에 대한 문제의식 때문이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국내 항만 크레인 876기 중 54.6%(478기)는 중국산으로 집계됐다. 중국 크레인 업체들이 2000년대 초반 국내 시장에 진출한 후 빠른 속도로 점유율을 확대해온 결과다. 일각에서는 중국산 크레인 퇴출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ZPMC 등 중국 크레인 업체가 탄탄한 내수 수요를 등에 업고 가격 경쟁력은 물론 기술 경쟁력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렸기 때문이다. 반면 국내 기업은 2000...